4.7 재보궐선거 이후 여야 할 것 없이 초선 의원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의 힘에선 초선인 김웅 의원이 일찌감치 당권 도전을 선언하면서 신예 '바람'이 불었고요. <br /> <br />30대, 0선 이준석 후보는 1위로 당 대표 본경선에 오르며 세대교체 '돌풍'을 일으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젊은 정치인들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자연스럽게 대통령 출마 나이를 40세로 제한하고 있는 헌법을 손봐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청년 정치인의 위상도 높아지면서 이처럼 우리나라 헌법 67조 4항에 있는 대통령 출마 자격을 40세 제한을 개정하자는 목소리가 <br /> <br />당 중진의원의 입에서도 나오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민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요? 오늘 발표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공감이 50.3%, 공감하지 않는다가 44.8%로 두 의견이 팽팽하게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연령대별로도 응답 비율에 차이가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눈에 띄는 건 2·30대와 50대 입니다. <br /> <br />연령대가 낮은 2·30대는 공감한다는 응답이 60%에 근접하며 전체 평균과 비교했을 때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죠. <br /> <br />그런데 50대는 10명 중에 6명 가까이가 '공감하지 않는다'라고 응답해서 대비되는 모습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통령 나이제한은 우리나라만 있는 걸까요? 그건 아닙니다. <br /> <br />주요 국가 중에 대통령제를 채택한 국가를 대표적으로 살펴보면 미국은 피선거권 자격을 '35세 이상', 프랑스는 '18세 이상'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필리핀도 우리와 비슷하게 '40세 이상'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에선 낯선 일이지만, 해외에선 30대가 국가 정상에 오른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2017년, 프랑스에선 지금의 대통령인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만 39세에 대통령으로 당선됐습니다. <br /> <br />프랑스 역사상으로도 최연소 당선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해 오스트리아에선 31세 당 대표 겸 총리가 탄생했고 뉴질랜드 총리도 37살에, 핀란드 총리도 34살에 총리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해외 의원들이나 장관으로 시야를 넓히면 젊은 정치인은 더 많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으로 200년 만에 최연소 총리가 된 캐머런 전 영국 총리는 39살에 보수당 대표가 됐고요. <br /> <br />31살 교육부 장관이 된 스웨덴의 구스타프 프리돌린 장관은 19세에 국회의원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과거 우리나라 정치권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장면들인데요. <br /> <br />최근 정치권을 강타한 청년 정치의 새 바람이 견고했던 여의도 기득권 정치의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60216003953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